읍참마속 뜻, 유래
읍참마속 뜻, 유래읍참마속 (泣斬馬謖)’ 뜻사자성어 읍참마속 뜻을 직역하면 ‘울면서 마속의 목을 베다’라는 뜻입니다. 여기서 ‘읍(泣)’은 ‘눈물을 흘리다, 울다’라는 의미이고, ‘참(斬)’은 ‘목을 베다, 참수하다’, ‘마속(馬謖)’은 삼국시대 촉(蜀)나라의 장수 이름입니다. 이 표현은 원래 삼국지 연의(三國志演義)와 진수(陳壽)의 정사 《삼국지》에 기록된 역사적 사건에서 유래했으며, 오늘날에는 공정한 법 집행과 조직의 기강 유지를 위해 사적인 감정을 억누르고 엄격히 처벌하는 상황을 비유하는 말로 쓰입니다. 즉, 가까운 사람이나 아끼는 부하일지라도 원칙과 규율을 어겼다면, 사적인 정을 배제하고 법과 규율에 따라 엄하게 처벌해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주로 정치, 군사, 기업 경영 등에서 원칙 중..
2025.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