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밀리터리

MH-53E 시 드래곤: 제원 및 가격

by hanu4 2025. 2. 22.

목차

    반응형

    일본 논에 불시착한 미군 헬기 MH-53E 시 드래곤: 제원 및 가격

    2024. 8. 3.일 일본 가나가와현의 한 논밭에 미군 헬기가 불시착하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NHK 방송에 따르면, 이 헬기는 3일 오전 11시경 일본 수도권 가나가와현 에비나 시의 논에 착륙했으며, 인명 피해는 없었던 것으로 보도되었습니다.

    미 해군 제15소해헬리콥터비행전대(HM-15) "블랙호크스" 소속

    해당 헬기는 도쿄 인근 아쓰기 기지에서 출발해 야마구치현의 이와쿠니 기지로 향하던 중, 엔진 문제로 불시착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헬기는 불시착한 지 1시간 40분 후 다시 이륙해 현장을 떠났으며, 경찰이 자세한 상황을 조사 중입니다. 불시착으로 인한 주위 건물 피해는 없었고, 기체의 손상이나 연료 누출 등의 문제도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디셉티콘인 줄

    에비나 시의 우치노 마사루 시장은 "사고 현장 인근에는 학교도 있었고, 대참사가 일어날 수도 있었다"며 주민들의 공포를 언급하면서, 국가와 미군에 강력한 항의와 함께 철저한 안전 대책을 요구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MH-53E 시 드래곤 개요

    MH-53E 시 드래곤(MH-53E Sea Dragon)은 미 해군의 대형 수송 및 소해 헬리콥터로, 전 세계적으로 여러 군에서 사용되고 있는 CH-53 계열의 최신 모델입니다. MH-53E는 1974년부터 운용되기 시작한 CH-53 계열의 헬리콥터 중 하나로, 특히 해군용으로 개발되었습니다.

    미국 해군과 해병대는 CH-53 계열의 헬리콥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 계열은 해상 및 육상의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MH-53E는 엔진 3기를 장착하여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대형 화물 수송 및 소해작전에 특화된 모델입니다. 공군에서도 공중급유 능력을 추가하여 실종자 수색 및 구출 임무에 사용한 바 있습니다. 현재는 퇴역 상태지만, 여전히 여러 군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MH-53E 시 드래곤의 주요 제원 및 성능

    • 개발사: 시코르스키 항공 (Sikorsky Aircraft)
    • 첫 비행: 2015년 10월 27일
    • 생산 기간: 2019년 5월 이후 시작
    • 예정 생산 대수: 18기
    • 총 생산 대수: 227대

    기체 제원

    • 전장: 동체 22.28m, 로터 포함 30.2m
    • 전폭: 동체 5.36m, 로터 포함 23.99m
    • 전고: 8.46m
    • 메인 로터 지름: 23.99m
    • 회전 면적: 460m²
    • 공허 중량: 15,071kg
    • 적재 중량: 15,900kg
    • 최대 이륙 중량: 34,000kg

    엔진 및 성능

    • 로터 시스템: 메인로터 7엽, 테일 로터 4 엽
    • 엔진: General Electric GE38-1B (T408) 터보샤프트 엔진 x3기
    • 엔진 출력: GE38-1B (T408) 7,500HP (총 22,500HP)
    • 순항 속력: 261km/h
    • 최대 속력: 315km/h
    • 항속 거리: 841km
    • 전투 행동반경: 204km
    • 분당 상승률: 13m/s
    • 실용 상승 한도: 4,383m

    항전 장비 및 무장

    • 항전 장비:
      • AN/APR-39B(V) 2 레이더 경보 장치
      • AN/ALE-47(V) 채프/플레어 사출기
      • AN/AAQ-24 DIRCM 지향성 적외선 방해 장치
    • 무장:
      • 양쪽 도어 거치: GAU-21/A 12.7 mm 기관총 x2정
      • 후방 램프: GAU-21/A 12.7 mm 기관총 x1정

    결론

    MH-53E 시 드래곤은 고성능 대형 헬리콥터로, 해군의 다양한 임무에 적합한 장비입니다. 이 헬리콥터는 첨단 항전 장비와 강력한 엔진을 통해 탁월한 성능을 발휘하며, 대형 화물 수송 및 소해작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일본에서의 불시착 사건은 안전 관리와 관련된 문제를 다시 한번 상기시켜 주는 사건이며, 향후 헬리콥터의 안전 운영 및 대책에 대한 철저한 점검이 필요함을 보여줍니다.

    반응형